지나치게 높은 지방과 단순 탄수화물, 식습관 뿐 아니라 이러한 급격한 음식의 변화로 암세포가 좋아하는 음식이 많이 늘어나다보니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과 다양한 암 질환의 노출 돨 수 밖에 없는데요.
이와 관련해 어떤 음식이 면역계를 공격하고 왜 암 세포가 좋아 하는지 그 이유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커피
커피를 마시면 면역 호르몬을 적게 나오게 만듭니다. 면역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밤 10시에서 새벽 2시까지 분비가 증가 반면 새벽 2시에서 새벽6시까지는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량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면역부산물 배출)
이유인 즉 커피를 마시게 되면 코디졸 이라는 스트레스 대응 호르몬이 나오는데 커피를 섭취하면 이 멜라토닌 면역 호르몬이 나오지 않게 됩니다.
또한 오후에 마시는 커피는 면역호르몬 생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될수 있도록 커피는 오전 중으로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커피를 마셔도 숙면에 문제는 없다고 하지만 실상은 밤에 잠잘 때 면역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외 커피를 마시면 우리 몸에서 포도당이 더 많이 나와 항암제에 저항 뿐아니라 항암제 효과를 떨어뜨립니다.
2. 미세프라스틱
차를 마실때 접하는티백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는데요. 이 티백 속에는 미세 플라스틱이 수십억개가 존재합니다. 종이로 만들어진 티백 역시 20~3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안전하지 않습니다.
그외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수 플라스틱 물병에는 발암물질과 내분비 교란을 일으키는 물질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상당히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생수는 플라스틱을 피하고 오래 보관된 생수나 고온에서 강한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된 생수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되도록 일회용 티백이 아닌 잎을 우려서 먹거나 거즈를 이용한 티백을 사용 하는게 바람직 하며종이컵, 플라스틱 컵, 비닐랩, 컵라면, 플라스틱 뚜껑 덮지 않기, 에어프라이기 종일호일(실리콘 코팅), 배달을 시킬 때 뜨거운 음식은 열을 가하지 않은 비조리로 배달 시켜야 합니다.
3. 구강 청결제(알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강 청결제 가글은 사실상 알콜이 들어간 술입니다. 알콜 농도가 무려 13~25%로 가글 시 입 안에 좋은 미생물 균들이 모두 죽기 때문에 사용을 하지 않는게 좋으며 또 다른 이유로는 술은 발암 물질로 분류가 되기 때문입니다.
4. 나쁜 기름
기름은 우리의 세포막을 구성 하는데 기름에 음식을 튀기면 이 기름은 트랜스 지방으로 구조가 바뀝니다. 때문에 나쁜 기름을 섭취하게 되면 몸 속 세포막이 딱딱해지면서 산소가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않게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중국요리, 치킨, 튀김, 쇼트닝, 마가린, 돈까스, 삼결살 등은 발암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기에 안좋은 기름을 사용한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오메가-6가 높은 올리브오일, 코코넛 오일, 카놀라유, 호두기름,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옥수수 기름, 땅콩기름, 참기름, 홍화유, 포도씨유는 피하고 오메가-6가 낮고, 오메가-3가 높고 열을 가하지 않고 39도에서 냉압착으로 추출한 아마씨 오일, 들기름을 섭취하는 게 바람직 합니다.
5. 고기(적색육)
어떤 단백질을 먹는냐에 따라서 몸에서 활용률이 다릅니다. 고기와 우유는 암을 키울 수 있는데요. 특히 붉은 적색육 고기는 헤모글로빈 철분 함량이 높아서 DNA가 손상으로 암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세포는 작게 먹지만 암세포는 성장과 분열을 위해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많이 필요로 합니다.
소고기, 돼지고기는, 계란은 체내에서 단백질 재활용을 80%이상 하다보니고기를 먹으면 분열 속도가 높아지지만 이에 반해 야채류의 단백질은 20%밖에 활용 못하다 보니 암세포의 분열 속도가 현저히 낮아집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가공육 햄은 이미 발암 물질로 지정이 되어 있으므로 되도록 철분이 적은 닭고기, 오리 고기와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김, 검은콩, 대두를 섭취 하는 게 바람직 합니다.
고기에 단백질 함량이 100g당 20g 이지만 김, 검은콩, 대두 식물성 단백질은 100g당 40g으로 훨씬 더 높습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근육을 만들때와 나이가 많아 체력이 떨어진 노인들 경우 고기에 단백질 도움을 받을수 있습니다.
6. 우유/유제품
유제품과 관련이 높은 유방암은 우유를 먹으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라는 암을 키울 수 있는 수치가 올라갑니다. 우유 보다는 그나마 성장 호르몬이 낮은 산양유로 대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치즈 , 아이스크림은 피하고 발효 식품인 요거트는 대장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식품이지만 되도록 두유로 만들어진 콩 요거트를 섭취 하는 게 권장됩니다.
7. 당이 높은 음식
CI 수치는 얼마나 빨리 포도당으로 분해 되는 수치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당뇨 환자의 간암 사망율은 일반인 보다 무려 74%가 높습니다.
바로 암세포가 포도당을 20배 가까이 먹기 때문에 CI 수치가 높은 빵, 백미, 과일, 설탕, 초콜릿, 아이스크림, 라면과 같은 면류 등을 줄여야 합니다.
특히 백미는 포도당이 100, CI 수치가 80이상인 백미 보다는 현미가 좋습니다. 이런 탄수화물의현재 섭취량을 50~60%을 절반인 20~30%로 제안하고 줄이면 암 세포는 1/3 밖에 자라지 않습니다.
또한 꿀, 올리고당, 메이플 시럽을 사용하고 당류는 하루에 10g 미만으로 섭취하 과일은 CI 수치가 40미만으로 낮은 사과, 복숭아, 토마토, 체리 등을 먹는 게 좋습니다.
식후 높아진 혈당을 낮추지 않으면 암세포가 가져 가기에 식사를 어떻게 하는내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 야채와 과일을 섭취
- 다음으로 단백질(생선)
- 마지막으로 국물과 현미
- 식사는 30~1시간 정도 천천히
- 식후 30분 걷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