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경고하는 달콤한 간식 탕후루!


최근 우리나라에서 폭발적인 열풍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탕후루 파인애플 ,포도, 딸기, 샤인머스켓 등 여러 종류에 과일을 설탕 또는 물엿을 코팅한 후 꼬지에 일렬로 꽂은 중국에 전통 간식으로 그 열풍이 대단한데요.

하지만 탕후루의 열풍에 의사들은 “건강을 생각 한다면 한국에 오지 말았어야 하는 메뉴”로 꼽는습니다. 언뜻 보기엔 건강에 좋은 과일을 먹는 것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지방이 쌓이고 혈당 조절을 어렵게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1. 탕후루의 높은 칼로리

우선 탕후루의 칼로리는 100g당 70~100kcal로 이는 일반적인 과일 포도, 배, 사과 보다 칼로리가 높을뿐 아니라 과일에 과당과 설탕은 포도당과 과당의 결합(이당류)으로 생각보다 상당히 칼로리가 높은편입니다.


2. 간 건강의 적 탕후루

탕후루는 먼저 몸에 들어 온 당분을 일부는 에너지원으로 쓰고 남은 당은 지방으로 바뀌어 우리 몸에 저장이 됩니다. 즉 과일에 포함된 과당은 지방에서 대사가 되지만 과잉 섭취한 남은 당은 간에서 지방으로 전환된 후 차곡차곡 간에 쌓이는데 보통 간 무게의 5%를 넘기면 지방간으로 봅니다.


3.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하는 탕후루

탕후루에 덧대어 있는 설탕의 포도당은 소화과정을 거쳐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이때 췌장에서는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분비하는데 인슐린은 혈당을 세포로 운반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도록 돕습니다.

그러나 남은 포도당은 혈액 내에서 놀아다니며 혈당 수치를 높이게 됩니다. 증가한 혈당을 정상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췌장은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합니다. 그 결과 혈당이 감소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당분 섭취로 인해 인슐린의 과도한 분비가 계속되면, 인슐린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췌장이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과 ‘인슐린 분비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높은 혈당은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심장, 눈, 신장, 혈관 등 다양한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다이어트의 적 달콤한 간식 탕후루

탕후루에 당분 “단순 당”은 혈당을 급상승과 급하락을 유도하는 혈당 스파이크의 주요 원인으로 몸에선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을 더 많이 내보내게 되는데 혈당을 낮추는이 과정에서 저혈당과 공복감이 생깁니다.

바로 이 때 단 맛을 찾게 되는 악순환과 중독으로 인한 금단현상으로 과식과 폭식으로 연결이 됩니다. 극강에 단맛을 경험한 뇌에서는 행복함과 만족감을 느끼는 도파민 이라는 호르몬을 분비 하는데 마약, 알콜 중독자가 느끼는 쾌감을 느끼는 호르몬의 구조와 같다고합니다.

또한 과일은 자연적인 당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여기에 탕후루를 만들 때 설탕을 추가하면 당분 함량이 더 증가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당분 섭취는 과다한 칼로리 섭취를 하기때문에 다이어트에도 좋지않습니다.


5. 당독소 유발

탕후루는 설탕 시럽을 코팅을 하는데 설탕을 녹이는 과정에서 당 독소라고 하는 최종당화산물(AGEs) 발생합니다. 당 독소는 스스로 분해 되지못해 세포 내 다양한 효소와 결합 하는데 세포 활성도 억제 및 면역세포와 신경세포에 염증을 일으키고 피부속 콜라겐과 결합해 피부에 주름을 만듭니다.

또한 혈관 벽을 딱딱하게 만들고 근육 관절통증을 유발 시킬뿐 아니라 체내에 당 독소가 높을수록 치매, 암,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다낭성 난소증후군 발생 위험 수치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의사의 경고

정리 하자면 과도한 당 섭치는 혈당 변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최근들어 탕후루의 열풍으로 인해 직접 탕후루를 만들다 설탕물로 인한 화상을 입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합니다. 어린이와 애완동물 각별한 주의기 필요합니다.